아카이브

찾아가는 예절서당 (총 1,200시간 전국264기관, 26,042명 교육)
해외로 찾아가는 예절서당
<6월 - 호주 시드니>
교육기관 : 캠시초등학교, 콩코드웨스트초등학교, 시드니한국교육원, 스트라스필드 사우스 초등학교, 기쁨있는한글학교, 시드니한국문화학교 총 492명,
<12월 - 베트남 하노이>
“2024 한-베 우정의 거리 축제” 체험행사 진행 (체험 인원 : 1,000여명)
서당스테이, 가족서당스테이, 시니어서당스테이 (전국 17개 기관, 651명 교육)
예(禮)티켓 서당 (8월~9월 서울 무계원 진행, 총 775명 참가)
제12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전통교육교재 1종 : “시축(詩軸), 한시로 그려낸 자연”)
사이버예절서당 강의동영상 촬영 (논어(論語) 헌문(憲問)~요왈(堯曰), 총 60강)
체험교구 교재개발 (체험교재 1종 : “서당의 가치, 손 끝에 담다”)
제14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41차~제43차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4월 남원 ,6월 남원, 10월 구례)
제22회 대한민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예선(향시) - 04월 27일(토) 남원 사랑의광장 일원
본선(경시) - 05월 19일(일) 서울 운현궁
응시자 총 1,091명
찾아가는 예절서당(총1,100시간 전국238기관, 22,436명 교육)
해외로 찾아가는 예절서당
(6월 일본 동경한국학교, 주일한국문화원 총 170여명)
서당스테이 및 가족서당스테이(전국 4개 기관, 174명 교육)
제11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사이버 예절서당 교재 3종: “노자”, “장자”, “주역 上·下”)
사이버예절서당 강의동영상 촬영(논어(論語) 태백(泰伯)~헌문(憲問), 총 70강)
제13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2월 남원)
제37차~제40차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3월 남원 ,6월 남원, 8월 남원, 12월 구례)
도심 맞춤형 서당
(10월~12월 대전 소대헌•호연재 고택 진행, 총 370명 참가)
찾아가는 인문예절학당
(익산 낭산다례원•장수 장안도깨비권역영농조합법인•논산 양지그린락협동조합, 총 46명 수료)
제21회 대한민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예선(향시) - 10월 14일(토) 남원 사랑의광장 일원
본선(경시) - 10월 22일(일) 서울 운현궁
응시자 총 983명
찾아가는 예절서당 (총 1,110 시간 전국 197기관, 23,122명 교육)
서당스테이 및 가족서당스테이 (전국 6개 기관, 165명 교육)
제10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2종: "동몽수지", 컬러링북 "풍월아 서당가자")
사이버예절서당 강의동영상 촬영 (논어(論語), 학이(學而)~술이(術而, 총 70강)
제12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34차~제36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7월 남원, 9월 남원)
도심 맞춤형 서당
(5월~6월 서울 무계원 진행, 총 360명 참가 / 10월 대전 소대헌 • 호연재 고택 진행, 총 259명 참가)
제11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찾아가는 인문예절학당
(익산 낭산다례원 • 계룡 회문서당 • 남원 문화원, 총 52명 수료)
제20회 대한민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10월 22일 (토)~23일(일) 남원 광한루원 일원 : 응시자 1,080명)
서당문화 체험한마당 '사진으로 읽는 서당(書堂) 기록展
(전시 : 겨레얼살리기연수회관 3층, 관람객 : 500여명)
찾아가는 예절서당 (총 1,760 시간 전국 345기관, 33,150명 교육)
서당스테이 및 가족서당스테이 (전국 8개 기관, 324명 교육)
제9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입학류설, 아학편, 유합)
사이버예절서당 강의동영상 촬영 (주역 25괘~64괘, 통감절요 86강, 서당인문학, 키워드로 읽는 동양사상 40강)
제11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27차~제30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2월 남원, 3월 남원, 4월 구례, 5월 남원)
제31차~제33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8월 구례, 10월 구례, 12월 구례)
서당문화진흥 워크숍 개최 (12월 구례)
서당문화가치발굴 학술포럼 개최 (3월 구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교육과 서당")
서당문화가치발굴 학술대회 개최 (5월 서울 "천년의 서당, 미래를 준비하다")
서당문화가치발굴 학술용역 수행 (12월 구례 "한국전통서당의 실태와 현대적 활용")
도심 맞춤형 서당
(4월~5월 서울 무계원 진행, 총 499명 참가 / 10월~12월 대전 소대헌 • 호연재 고택 진행, 총 677명 참가)
제10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40명 수료)
인성예절 시민강좌
(세종 연기향교 • 논산 어린이집 연합, 총 31명 수료 / 익산 낭산다례원 • 계룡 회문서당 • 남원 공안서당, 총 44명 수료)
제19회 대한민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3~5월 비대면 온라인 예선 : 남원 • 대면 본선 : 서울, 응시자 1,450명)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창립 10주년 특별전 "시(詩) • 서(書) • 성(聲) 특별전"
(전시 :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관람객 : 591명)
찾아가는 예절서당 (총 1,904시간 전국 427기관, 47,108명 교육)
해외로 찾아가는 예절서당
(11월 프랑스 장뮬랑 리옹3대학교, 리옹한인회, 한국사랑회 총 175명,
덴마크 주덴마크대한민국대사관 총 56명)
서당스테이 및 가족서당스테이 (전국 19개 기관, 630명 교육)
제8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사자소학 및 추구 개정판, 계몽편, 영가무도 가사집 개정판)
사이버예절서당 강의동영상 촬영 (주역 8괘~24괘, 71강~135강)
제9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23차~제26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4월 남원, 6월 남원•함양, 11월 서울)
서당문화진흥 워크숍 개최 (12월 남원)
서당문화가치발굴 학술대회 개최 (11월 서울 "서당의 생명령과 미래 100년의 길")
제8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10명 수료)
제9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13명 수료)
인성예절 시민강좌
(9월~11월 서울 덕성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해외 외국인 국가장학생 45명 수료
임실 35사단 방공부대 및 7733부대, 현역장병 100명 수료)
제18회 대한민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5월 서울 광화문광장 : 응시자 1,377명 포함 총 25,262명)
독립지사 유묵 초대전 "오늘 다시 쓰는 100년의 약속"
(1차 전시 : 서울 광화문광장 • 2차 전시 : 서울 경인미술관)
찾아가는 예절서당 (전국 352개 기관, 38,974명 교육)
해외로 찾아가는 예절서당
(중국 상해 : 한인학교 163명 교육 및 북경 전통교육기관 방문)
서당스테이 및 가족서당스테이 (전국 15개 기관, 552명 교육)
제7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명심보감, 성인교재 : 우주의 원리와 인간의 본성)
사이버예절서당 강의동영상 촬영 (장자, 주역)
제6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59명)
제7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114명)
제1기 인성예절지도사 심화과정 연수회 (전국 45명)
제8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20차~제22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4월 남원, 11월 남원)
제7차 역사문화탐방 개최 (6월 제주권 일대)
서당문화 현황과 가치조사 및 활용 방안 연구용역 수행
전통서당문화의 현대적 가치 조명 학술대회 개최 (12월 서울 국회의사당)
제17회 대한민국 서당문화한마당 - 개최지 변경
(5월 서울 광화문광장 : 응시자 1,304명 포함 총 12,229명)
제3회 대한민국서당문화체험한마당 개최 (10월 전주)
제6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한국고전으로의 산책, 성인교재 : 부응경을 통해서 본 인간의 본성과 윤리 2)
사이버 강의 동영상 촬영 (주역-계사)
제7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17차~제19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5월 남원, 11월 남원)
제6차 역사문화탐방 개최 (6월 서울권일대)
제4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100여명)
제5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130여명)
제16회 대한민국서당문화 한마당 개회 - 대통령상 유치
(전라북도 남원 : 응시자 1,268명 포함 총 2,374명)
제2회 대한민국서당문화체험한마당 개최 (10월 전주)
제5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고전의 지혜, 성인교재 : 부응경을 통해서 본 인간의 본성과 윤리 1)
사이버 강의 동영상 촬영 (장자)
제6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14차~제16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5월 남원, 11월 남원)
제5차 역사문화탐방 개최 (9월 충청도일대)
제5차 서당문화진흥 워크숍 개최 (11월 남원)
제2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100여명)
제3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100여명)
제15회 대한민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 전국서당문화한마당을 개칭
(4월 전라북도 남원 : 응시자 1,183명 포함 총 2,259명)
제1회 대한민국서당문화체험한마당 개최 (10월 전주)
전통서당문화 체험・숙식교육 및 방문교육
제4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고전의 향기, 성인교재 : 도덕실기전)
사이버 강의 동영상 촬영 (노자)
제5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11차~제13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5월 남원, 11월 남원)
제4차 역사문화탐방 개최 (9월 경기도일대)
제4차 서당문화진흥 워크숍 개최 (11월 남원)
제1기 인성예절지도사 양성사업 (전국 200여명)
제14회 전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전라북도 남원 : 응시자 1,056명 포함 총 2,087여명)
전통서당문화 체험・숙식교육 및 방문교육
제3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학어집, 성인교재 : 현대사회의 예절문화)
사이버 강의 동영상 촬영 (명심보감, 중용)
제4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8차~제10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5월 남원, 10월 서울)
제3차 역사문화탐방 개최 (6월 강원도 일대)
제3차 서당문화진흥 워크숍 개최 (11월 남원)
김재룡・서홍석・김대중 신임이사 취임 (6월)
김원규・박인철・정민호・한재오・기범수 이사 연임 (6월)
고남화 감사 연임, 정길연 신임 감사 선임 (6월)
제13회 전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4월 전라북도 남원 : 응시자 931명 포함 총 1,680여명)
전통서당문화 체험 · 숙식교육 및 방문교육
(숙식교육 2,473명 · 방문교육 5,847명)
제2차 전통교육 교재개발및 발간
(청소년교재 : 추구, 성인교재 : 경연 II - 임금과 신하의 인문학 세미나)
사이버 강의 동영상 촬영 (사자소학, 명심보감)
제3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2월 남원)
제5차~제7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7월 남원, 8월 남원)
제2차 역사문화탐방 개최 (6월 전라남도 일대)
제2차 서당문화진흥 워크숍 개최 (11월 남원)
제12회 전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4월 전라북도 남원 : 응시자 921명 포함 총 1,620여명)
전통서당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
(찾아가는 예절서당 750명, 1박2일 숙식캠프 1,000명)
인성·예절 교육용 시청각자료 제작 (DVD 제작)
제1차 전통교육 교재개발 및 발간
(청소년교재 : 사자소학, 성인교재 : 경연Ⅰ- 임금과 신하의 인문학 세미나)
제2회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정기총회 (1월 남원)
제1차~제4차 훈장역량강화 연수회 개최 (3월 남원, 5월 남원, 7월 남원, 10월 서울)
제1회 역사문화탐방 개최 (6월 영주 • 안동 일대)
제1회 서당문화진흥 워크숍 개최 (12월 남원)
제11회 전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4월 전라북도 남원 : 응시자 813명 포함 총 1,500여명)
문화체육관광부 허가 제2011-17호 설립인증
사단법인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한양원 이사장 취임
제1회 사단법인 한국전통서당문화진흥회 창립총회
제9회 장학금수여식 (2,000,000원)
제10회 전국서당문화한마당 개최
(4월 전라북도 남원 : 응시자 580명 포함 총 1,200명)